[엄마가 알아두세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법 & 효과적인 부모 대처법’
“정확한 진단이 가장 중요, 무엇보다 부모의 양육 태도가 달라져야 해요”
최근 들어 언론보도 등을 통해 ADHD가 많이 홍보되고,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ADHD 치료약물의 효
과 또한 널리 알려지면서 ‘혹시 내 아이도 ADHD가 아닐까’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다. 경기도 한 소도
시의 초등학교 사회복지사 최씨는 “지난해 7월 전 학년을 대상으로 ADHD 자가 테스트를 가정통신
문으로 발송했는데 의외의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최씨는 기껏해야 한 학년에 4∼5명 정도가
‘ADHD가 의심된다’는 자가테스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각 반마다 4∼5명의 아이들이
‘ADHD가 의심된다’고 자가진단을 했다는 것. 그는 “아이가 좀 더 공부를 잘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는
엄마들이 아이의 활달한 성격을 과장해서 받아들이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99년 미국의 행동소아과 의사인 폴 도킨박사는 소아과 의사들이 ADHD라고 진단한 2백45명
의 아이들을 다시 진단한 결과 이 중 38%만 ADHD였을 뿐 나머지는 단지 학습장애만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소아정신과 전문의들도 ADHD인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아이의 문제를 올바르게 풀어
가는 첫걸음이라고 지적한다. 3∼5세 아이들은 대개 매우 활동적인 편이어서 집중력이 부족하고 상
당히 충동적이기 마련이다. 때문에 이 나이 또래의 아이들 중에서 ADHD 아동을 골라내는 일은 매
우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또한 빈혈이 있을 경우 주의력 결핍이 나타나기도 하며 갑상선이 건강하
지 않은 아이는 서성거리는 행동을 나타낸다. 우울증이나 불안감이 주의력 결핍으로 오해되기도 한
다.
미니인터뷰 | |
서울대병원 의료사회사업실 박혜영 가족치료사 “엄마가 마음 건강 유지하면서 인내심 갖고 아이 대해야 해요” 서울대병원 의료사회사업실 박혜영 가족치료사(46)는 ADHD 아동 가족들의 상담과 가 족치료 등을 20년 가까이 담당해왔다. 그는 ADHD 아동들의 증상 통제뿐만 아니라 올바 른 양육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하는 역할 10가지를 들려뒀다. 먹지 않아도 식탁을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숙제를 제대로 하는지 인내심을 갖고 계 속 지도한다. ADHD 아동에게는 집단 스포츠보다는 수영, 스키, 골프 등 개별적인 스포 츠가 적합하다. 또한 ADHD 아동은 시각 반응이 큰 경향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자료들을 활용해 아이에게 규칙을 가르친다. 운동, 요리, 그림 그리기 등 아이의 긍정적인 면들을 찾아내 자주 칭찬하고, 그것을 발달시키도록 도와 준다. 동하지 않기 때문. 하지만 ADHD 아동은 부모가 바라는 대로 행동하지 않는다. 다. 부모 스스로 ADHD 자녀를 키우면서 느끼는 스트레스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많은 아빠들이 아이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설사 인정하더라도 치료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 하지만 부 부가 협력하지 않는다면 아이 상태를 호전시키기 어렵다. 병원 진료나 부모 상담 프로그램 등에 남편이 참여하도록 적극 권장함으로써 양육에 대해 부부 협력을 강화한다. 아이가 학교에서 잘 지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사가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기꺼이 돕는다. 일부 학교에는 사회복지사가 있어 아이들의 문제 해결을 돕고 있다. 사회복지사에게도 도움을 청한다.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www.kassw.or.kr) 중요한 요소다. 때문에 아이가 친구와 우정을 쌓고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다. 늘 부족하다. 이 때문에 다른 자녀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 때문에 이런 박탈감을 보상해주기 위해 서 별도로 상도 주고 칭찬도 많이 해준다. 레스나 여가 관리 프로그램을 함께 만들어본다. | |
'건강에 관해 > 심리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ADHD 증후군·학습장애·아스퍼거...산만한 우리 아이, 그냥 둬도 될까?[변 (0) | 2007.06.23 |
---|---|
[스크랩] ADH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법 & 효과적인 부모 대처법’ (0) | 2007.06.23 |
[스크랩] "나잇값 "..곽금주 (심리학 교수 ) (0) | 2007.04.13 |
[스크랩] 인간의여러가지심리효과 (0) | 2006.10.24 |
[스크랩] 자존감을 세워주는 커뮤니케이션 (0) | 2006.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