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吃一堑, 長一智 - 어려움을 겪어야 지혜가 성장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성공하려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하며 실패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다. 62. 捲土重來 -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말고 사기를 북돋워 재기해야 한다. 63. 三年不蜚不鳴 - 큰 새가 3년을 날지 않고 울지 않으며 기다렸다는 뜻이다. 춘추시대 초나라왕 庄王이 즉위하여 3 년 동안 무능한 척 생활하면서 부패한 관리들을 파악한 다음 충신들을 골라내어 올바르게 통치했다는 이야기이다. 64. 謀事在人, 成事在天 - 일은 사람이 하지만 성공여부는 하늘에 달려있다. 어떤 일을 완성하려면 계속적인 노력이 대단히 중요함을 가르친다. 65. 長生久視 - 오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행복하고 가치있게 사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66. 創業容易, 守成困難 - 많은 사람들이 고난을 극복하고 창업에 성공했지만 편안함을 추구하다가 근면함을 잃게 되어 성공을 이어가지 못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는 뜻이다. 67. 居安思危 - 편안할 때 위기를 잊지 말아야 하며 살아 있을 때 죽음을 잊지 말아야 하고 안정된 통치를 할 때 반란을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68. 末大必折, 尾大不掉 - 나무의 끝이 크면 반드시 부러지며, 동물의 꼬리가 크면 흔들지 못한다. 끝이 크거나 꼬리가 큰 것은 비정상적인 현상이므로 군주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한다는 뜻. 69. 老馬識途 - 늙은 말이 길을 안다. 즉, 경험과 학식이 많은 사람의 의견이 대단히 중요하며 이를 존중해야 함을 의미한다. 70. 重賞之下, 必有勇夫 - 사람은 재물을 추구하다 죽고, 새는 음식을 쫓다가 죽는다. 미끼가 있으면 반드시 잡히는 고기가 나타난다. 상을 후하게 주면 반드시 용감한 일꾼을 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71. 不令而行 - 사람이 바르면 법규가 없어도 따르고 바르지 못하면 법규가 있어도 따르지 않는다. 지도자는 반드시 단정하고 바르게 처세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72. 推心置腹 - 내 심장을 남의 뱃속에 넣어 둔다는 말로 온화하고 합리적인 태도로 부하를 감복시키면 민심을 얻어 조직을 단결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국가의 흥망은 토지의 크기에 달려있지 않고 인덕의 크기에 달려 있다. 73. 泰山不讓土壤 - 태산은 크고 높은 산임에도 불구하고 한줌의 흙도 거절하지 않고 받아들여 자신을 더욱 크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인간도 겸손하게 모든 것을 포용해야만 위대해진다는 의미이다. 74. 知人善任 - 지도자는 부하의 특징을 잘 알아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회피해야 성공할 수 있다. 75. 心定神和 - 높은 자리에 있는 지도자는 마음이 안정되고 쾌활한 자세를 보여야 부하들이 당황하지 않고 단결하여 사기를 높일 수 있다. 76. 不遷怒 - 지도자는 도량이 넓어 남에게 화풀이를 하지 말아야 좋은 이미지로 지위를 유지할 수 있고 부하들을 단결시킬 수 있다. 77. 上有好者 - 상급자가 좋아하는 취향을 가지고 있으면 부하들은 이를 경쟁적으로 흉내 내려고 한다. 따라서 지도자가 몸소 시범을 보여 미덕으로 부하들을 감동시키면 부하들은 이를 소리없는 명령으로 받아들이고 따른다. 78. 運用之妙, 存乎一心 - 지혜를 많이 가지고 있어도 이용할 줄 모르면 죽은 것과 같아 가지고 있는 의미가 없으며, 심각한 손실마저 초래할 수도 있다. 지혜는 활용할 수 있어야만 어려움을 극복하는 강한 무기가 될 수 있다. 79. 胸懷大志 - 지도자는 원대한 목표와 견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부정적인 영향에 흔들리거나 소인들의 간계에 넘어가 방황해서는 안 된다. 욕심이 없으면 강해지고 사리를 취하지 않으면 두려움이 없게 된다. 80. 退一步, 海闊天空 - 성공해서 높은 직위에 오른 다음 퇴직하면 바다가 넓고 하늘이 높다는 뜻이다. 높은 직위를 계속 고집하면 인사정체, 태만, 업적부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사소한 결점 때문에 죄를 심문 받아 만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