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하나님에 관하여/나의 고백(톨스토이)

4~5

IV 
   

My life came to a standstill. I could breathe, eat, drink, and sleep, and I could not help doing these things; but there was no life, for there were no wishes the fulfillment of which I could consider reasonable. If I desired anything, I knew in advance that whether I satisfied my desire or not, nothing would come of it. Had a fairy come and offered to fulfil my desires I should not have know what to ask. If in moments of intoxication I felt something which, though not a wish, was a habit left by former wishes, in sober moments I knew this to be a delusion and that there was really nothing to wish for. I could not even wish to know the truth, for I guessed of what it consisted. The truth was that life is meaningless. I had as it were lived, lived, and walked, walked, till I had come to a precipice and saw clearly that there was nothing ahead of me but destruction. It was impossible to stop, impossible to go back, and impossible to close my eyes or avoid seeing that there was nothing ahead but suffering and real death -- complete annihilation.

나의 인생은 정지하였다. 나는 숨쉬고, 먹고, 마시고 잠잘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들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생명이 없었다, 왜냐하면 나의 소원의 성취가 이성적이라고 여길 수 있을 정도의 것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원했다면, 내가 나의 욕구를 만족시켰던지 아니든지, 아무것도 그것에서 얻을 것이 없으리라는 것을 사전에 알았을 것이다. 천사가 나에게 와서 나의 욕망을 채워 주겠다고 제안한다 하더라도 나는 무엇을 물어야 할 지를 몰랐을 것이다. 만일 술 취한 상태에서 내가, 소원은 아니더라도, 옛날의 소원이 남긴 습관이던 어떤 것을 느꼈다면, 맨 정신의 순간이 되면 나는 이것이 망상이며, 정말로 아무것도 바랄 것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심지어 진리조차 바랄 수 없었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 것인지 짐작하기 때문이다. 진리는 인생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나는, 이를테면, 살고 살았으며, 걷고 걸었다, 결국 벼랑 끝에 도달하여 나의 앞에는 파멸말고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명백히 보았다.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였고, 돌아가는 것도 불가능하였으며, 앞에는 오직 고통과 실제적인 죽음-완전한 전멸-만이 있다는 것을 보지 않으려고 눈을 감는 것은 불가능했다.

It had come to this, that I, a healthy, fortunate man, felt I could no longer live: some irresistible power impelled me to rid myself one way or other of life. I cannot say I wished to kill myself. The power which drew me away from life was stronger, fuller, and more widespread than any mere wish. It was a force similar to the former striving to live, only in a contrary direction. All my strength drew me away from life. The thought of self-destruction now came to me as naturally as thoughts of how to improve my life had come formerly. And it was seductive that I had to be cunning with myself lest I should carry it out too hastily.

나는 이런 지경에 온 것이다, 건강하며 운 좋은 사람인 내가 더 이상 살 수 없다는 것을 느꼈다: 어떤 저항할 수 없는 힘이 나에게서 인생의 모든 방향을 제거하여 버렸다. 나는 자살하고 싶다고 말할 수가 없다. 나에게서 인생을 쫓아 내버린 힘은 어떤 단순한 욕구보다도 더욱 강하고, 완전하며, 그리고 더욱 넓게 퍼져 있었다. 그것은 과거의 살고자 하는 힘과 유사했으나, 오직 반대 방향이었다. 나의 모든 힘이 나를 인생으로부터 몰아내었다. 자멸에 대한 생각이 이제는 과거에 어떻게 나의 인생을 향상시킬 것인가의 생각 만큼이나 자연스럽게 나에게 나왔다. 그리고 그것은 너무나 유혹적이라서 내가 그것을 너무 성급하게 실행하지 않도록 자신에게 약아져야만 했다.

I did not wish to hurry, because I wanted to use all efforts to disentangle the matter. "If I cannot unravel matters, there will always be time." and it was then that I, a man favoured by fortune, hid a cord from myself lest I should hang myself from the crosspiece of the partition in my room where I undressed alone every evening, and I ceased to go out shooting with a gun lest I should be tempted by so easy a way of ending my life. I did not myself know what I wanted: I feared life, desired to escape from it, yet still hoped something of it.

나는 서두르고 싶지 않았다, 나는 그 문제의 매듭을 풀기 위하여 모든 노력을 사용하기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내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언제든지 시간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운명이 호의를 베푼 사람인 나는 매일 저녁 내가 혼자서 옷을 벗는 내 방의 칸막이 가로장에 목을 매지 않도록 나로부터 노끈을 숨기고, 내 목숨을 끝내기에 너무나 쉬운 방법에 유혹되지 않도록 총을 가지고 사냥에 나가는 것을 그만 둔 것은 바로 그때였다. 나는 나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 지 알지 못했다: 나는 삶이 두려웠고, 그것으로 도피하기를 원하였으며, 그러나 여전히 그것에서 무엇인가를 바라고 있었다.

And all this befell me at a time when all around me I had what is considered complete good fortune. I was not yet fifty; I had a good wife who lived me and whom I loved, good children, and a large estate which without much effort on my part improved and increased. I was respected by my relations and acquaintances more than at any previous time. I was praised by others and without much self-deception could consider that my name was famous. And far from being insane or mentally diseased, I enjoyed on the contrary a strength of mind and body such as I have seldom met with among men of my kind; physically I could keep up with the peasants at mowing, and mentally I could work for eight and ten hours at a stretch without experiencing any ill results from such exertion. And in this situation I came to this -- that I could not live, and, fearing death, had to employ cunning with myself to avoid taking my own life.

그리고 나의 모든 주변에서 완전히 좋은 행운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내가 가지고 있는 때에 이 모든 일 들이 내게 일어났다. 나는 아직 오십이 아니었다; 나는 나와 함께 살며 내가 사랑한 좋은 아내, 좋은 자녀들, 그리고 나 자신의 커다란 노력이 없이도 발전되고 증가되는 커다란 사유지를 가지고 있었다. 나는 과거 어느 때 보다도 더욱 나의 친척들과 아는 사람들에게서 존경을 받았다.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서 칭송을 받았으며 많은 자기 기만 없이도 나의 이름이 유명하다고 여길 수 있었다. 그리고 제정신이 아니거나 정신적으로 병이 들기는 커녕, 반대로 나와 같은 부류의 사람들 가운데서 내가 전혀 만나 보지 못한 것 같은 마음과 몸의 능력을 구가하고 있었다; 육체적으로는 풀을 깎는 농부들과 견줄 만 했으며, 정신적으로는 연이어서 여덟 시간 및 열 시간 동안을 그러한 진력으로부터 초래되는 어떠한 질병도 경험하지 않고서 일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이것에 도달한 것이다-나는 살 수가 없다, 그리고 죽음이 겁이 나서, 내가 나 자신의 생명을 앗아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교묘한 방법을 써야 했다.

My mental condition presented itself to me in this way: my life is a stupid and spiteful joke someone has played on me. Though I did not acknowledge a "someone" who created me, yet such a presentation-that someone had played an evil and stupid joke on me by placing me in the world-was the form of expression that suggested itself most naturally to me.

나의 정신적 상태는 이런 식으로 나타났다: 나의 인생은 누군가 나를 가지고 노는 어리석고 심술궂은 조롱이다. 비록 나는 나를 창조한 누구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그러나 그러한 설명-누군가가 나를 세상에 내어 놓음으로써 내게 악한 일과 멍청한 조롱을 하였다-은 나에게 가장 자연스러이 떠오르는 표현의 형태였다.

Involuntarily it appeared to me that there, somewhere, was someone who amused himself by watching how I lived for thirty or forty years: learning, developing, maturing in body and mind, and how, having with matured mental powers reached the summit of life from which it all lay before me, I stood on that summit-like an arch-fool- seeing clearly that there is nothing in life, and that there has been and will be nothing. And he was amused. ...

어디에선가, 내가 삼십 또는 삼십오년 간을 어떻게 사는지 쳐다보면서 즐거워 하고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내게 떠올랐다: 배우고, 발전되며, 몸과 마음이 성숙하며, 그리고, 성숙된 정신적 능력으로서 모두 나의 앞에 놓인 인생의 정상에 도달함으로써, 나는 정상에 서 있다-마치 지극한 바보같이-인생에는 아무것도 없으며, 그리고 아무것도 없었으며, 아무것도 없으리라는 것을 분명히 보면서도. 그리고 그는 즐거워 했다...

But whether that "someone" laughing at me existed or not, I was none the better off. I could give no reasonable meaning to any single action or to my whole life. I was only surprised that I could have avoided understanding this from the very beginning -- it has been so long known to all. Today or tomorrow sickness and death will come (they had come already) to those I love or to me; nothing will remain but stench and worms. Sooner or later my affairs, whatever they may be, will be forgotten, and I shall not exist. Then why go on making any effort? ... How can man fail to see this? And how go on living? That is what is surprising! One can only live while one is intoxicated with life; as soon as one is sober it is impossible not to see that it is all a mere fraud and a stupid fraud! That is precisely what it is: there is nothing either amusing or witty about it, it is simply cruel and stupid.

그러나 나를 보고 웃는 “누군가”가 존재하든 말든, 나는 결코 뛰어나다고 할 수 없다. 나는 어떤 한가지의 행동이나 나의 전체 인생에 대하여 어떠한 이성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가 없었다. 나는 단지 아주 처음부터 이것을 깨닫는 것을 회피할 수 있었음에 놀라와 했다-그것은 아주 오래 전부터 모든 사람에게 알려졌었다. 오늘이나 내일 질병과 죽음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또는 나에게 올 것이다(이미 그것들은 왔다); 오직 썩는 냄새와 벌레들 만이 남을 것이다. 조만 간에 나에 관한 일들은, 그것들이 무엇이라고 하더라도, 잊혀질 것이다, 그리고 나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계속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일까?... 어찌해서 사람은 이것을 깨달을 수 없는가? 그리고 어찌해서 살아가고 있는가? 그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사람은 오직 삶에 취해 있을 때만 살 수 있다; 그가 깨어나자마자 그것은 모두 어처구니 없는 사기이며 어리석은 사기임을 깨닫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정확하게 있는 그대로다: 그것에는 재미있는 것도 재치 있는 것이라곤 전혀 없다, 그것은 단순히 잔인하며 멍청할 뿐이다.

There is an Eastern fable, told long ago, of a traveller overtaken on a plain by an enraged beast. Escaping from the beast he gets into a dry well, but sees at the bottom of the well a dragon that has opened its jaws to swallow him. And the unfortunate man, not daring to climb out lest he should be destroyed by the enraged beast, and not daring to leap to the bottom of the well lest he should be eaten by the dragon, seizes a twig growing in a crack in the well and clings to it. His hands are growing weaker and he feels he will soon have to resign himself to the destruction that awaits him above or below, but still he clings on. Then he sees that two mice, a black one and a white one, go regularly round and round the stem of the twig to which he is clinging and gnaw at it. And soon the twig itself will snap and he will fall into the dragon's jaws. The traveller sees this and knows that he will inevitably perish; but while still hanging he looks around, sees some drops of honey on the leaves of the twig, reaches them with his tongue and licks them. So I too clung to the twig of life, knowing that the dragon of death was inevitably awaiting me, ready to tear me to pieces; and I could not understand why I had fallen into such torment. I tried to lick the honey which formerly consoled me, but the honey no longer gave me pleasure, and the white and black mice of day and night gnawed at the branch by which I hung. I saw the dragon clearly and the honey no longer tasted sweet. I only saw the unescapable dragon and the mice, and I could not tear my gaze from them. and this is not a fable but the real unanswerable truth intelligible to all.

오래 전에 들은 것으로, 들판에서 성난 짐승에게 쫓기던 나그네에 대한 동양의 동화가 있다. 성난 짐승을 피하다가 그는 말라버린 우물에 들어 갔지만, 우물의 아래는 턱을 벌리고서 그를 삼키려는 용을 보게 된다. 그리고 그 불행한 사람은, 성난 짐승에게 죽을 까봐 기어 나오지도 못하고, 용에게 먹힐까 봐 우물 바닥으로 뛰어 내리지도 못하다가, 우물 벽의 틈에서 자라는 나뭇가지를 잡고서 그것에 매달린다. 그의 손들은 점점 약해진다 그리고 그는 곧 위에서나 아래에서 기다리고 있는 죽음에 자신을 내맡길 수 밖에 없다고 느낀다, 그러나 여전히 그는 매달려 있다. 그때 그는 검고 흰 두 마리의 쥐가 그가 매달려 있는 가지의 줄기 주위를 규칙적으로 돌면서 그것을 갉아 먹는 것을 본다. 그리고 곧 그 나뭇가지 자체는 부러져서 그는 용의 턱에 떨어질 것이다. 나그네는 이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가 어쩔 수 없이 사라질 것을 안다; 그러나 여전히 달려 있으면서 주위를 둘러보다가, 가지의 잎들에 있는 꿀 몇 방울을 보고서, 그것들에 혓바닥으로 도달해서 핥는다. 그처럼 나도 인생의 가지에 매달려 있었다, 죽음이라는 용이 피할 수 없이 나를 기다리고 있으며, 나를 조각 낼 것임을 알면서; 그리고 나는 내가 왜 그러한 고통 속에 떨어 졌는지 깨달을 수가 없었다. 나는 이전에 나를 위안해 주던 꿀을 핥으려고 했다, 그러나 그 꿀은 더 이상 내게 즐거움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밤과 낮을 의미하는 희고 검은 쥐들은 내가 매달려 있는 가지를 갉아 먹었다. 나는 용을 확실히 보았다 그리고 꿀은 더 이상 달지가 않았다. 나는 단지 피할 수 없는 용과 쥐를 보았다, 그리고 나는 그것들로부터 나의 시선을 떼어 낼 수가 없다 그리고 이것은 동화가 아니고 모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사실이면서 대답할 수 없는 진리이다.

The deception of the joys of life which formerly allayed my terror of the dragon now no longer deceived me. No matter how often I may be told, "You can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so do not think about it, but live," I can no longer do it: I have already done it too long. I cannot now help seeing day and night going round and bringing me to death. That is all I see, for that alone is true. All else is false.

이전에 나의 용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시켜 주던 인생의 즐거움이라는 기만은 이제 더 이상 나를 속이지 못한다. 내가 아무리 자주, ‘너는 인생의 의미를 깨달을 수 없다 그러니까 그것에 대해 생각하지 말라, 그냥 살아라’라고 듣게 되어도, 나는 더 이상 그럴 수가 없다: 나는 이미 너무 오랫동안 그것을 해왔다. 나는 낮과 밤이 주위를 돌면서 나를 죽음으로 데려 가는 것을 보지 않을 수가 없다. 그것이 내가 깨닫는 모든 것이다, 왜냐하면 오직 그것만이 진실이기 때문이다. 모든 다른 것은 거짓이다.

The two drops of honey which diverted my eyes from the cruel truth longer than the rest: my love of family, and of writing-art as I called it-were no longer sweet to me.

무엇보다 오랫동안 나의 눈을 잔인한 진리로부터 떼어 놓은 두 방울의 꿀: 나의 가족에 대한 사람, 그리고 글 쓰는 일-내가 일컫는 바, 예술-은 더 이상 나에게 달콤하지 않았다.

"Family"...said I to myself. But my family-wife and children-are also human. They are placed just as I am: they must either live in a lie or see the terrible truth. Why should they live? Why should I love them, guard them, bring them up, or watch them? That they may come to the despair that I feel, or else be stupid? Loving them, I cannot hide the truth from them: each step in knowledge leads them to the truth. And the truth is death.

“가족”...마음속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나의 가족-아내 그리고 자식-역시 사람이다. 그들은 나와 마찬가지로 놓여있다: 그들은 거짓 속에 살거나 무서운 진리를 깨달아야 한다. 그들은 왜 살아야 하는가? 나는 왜 그들을 사랑하고, 양육하며, 지켜줘야 하는가? 그들은 내가 느끼는 절망에 이를 것인가, 아니면 어리석은 것인가? 그들을 사랑하기 때문에, 나는 진리를 그들에게 숨길 수 없다: 지식의 각기 발걸음은 그들을 진리로 인도한다. 그리고 진리는 죽음이다.

"Art, poetry?"...Under the influence of success and the praise of men, I had long assured myself that this was a thing one could do though death was drawing near-death which destroys all things, including my work and its remembrance; but soon I saw that that too was a fraud. It was plain to me that art is an adornment of life, an allurement to life. But life had lost its attraction for me, so how could I attract others? As long as I was not living my own life but was borne on the waves of some other life -as long as I believed that life had a meaning, though one I could not express-the reflection of life in poetry and art of all kinds afforded me pleasure: it was pleasant to look at life in the mirror of art. But when I began to seek the meaning of life and felt the necessity of living my own life, that mirror became for me unnecessary, superfluous, ridiculous, or painful. I could no longer soothe myself with what I now saw in the mirror, namely, that my position was stupid and desperate. It was all very well to enjoy the sight when in the depth of my soul I believed that my life had a meaning. Then the play of lights-comic, tragic, touching, beautiful, and terrible-in life amused me. No sweetness of honey could be sweet to me when I saw the dragon and saw the mice gnawing away my support.

“예술, 시?”... 성공의 영향력과 사람들의 칭찬 아래서, 나는 오랫동안 죽음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음에도 이것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오랫동안 확신하고 있었다-나의 작품들과 그 기억들을 포함하여 모든 것을 파괴하는 죽음; 그러나 곧 나는 그것들 역시 사기임을 깨달았다. 예술은 인생의 장식이며, 인생의 유혹이란 것이 내게는 명백했다. 그러나 인생은 나로서는 그 매력을 상실했다, 그러니 어찌하여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매력을 줄 수 있는가? 내가 나의 인생을 살지 않고 어떤 다른 인생의 파도에 태어나 있는 한-비록 내가 표현은 할 수 없더라도, 인생이 의미가 있음을 믿는 한-모든 종류의 시와 예술을 통한 인생의 조명은 나에게 즐거움을 주었다; 예술이라는 거울로 인생을 바라보는 것은 즐거웠다. 그러나 내가 인생의 의미를 찾기 시작하며 나 자신의 인생을 살 필요를 느꼈을 때, 그 거울은 내게 있어서 불필요하며, 과잉이며, 우스꽝스럽고, 또는 고통스럽게 되었다. 나는 더 이상 지금 내가 본 것으로 나 자신을 위로할 수 없었다, 결국 나의 위치는 어리석고 자포자기 상태였다. 내 영혼의 깊은 곳에서 내 인생이 의미가 있다고 믿는 때는 그런 시각을 즐기는 것이 모두 매우 좋았다. 그런데 인생에서의 빛의 동작-희극, 비극, 감동적, 아름다움 그리고 무서움-은 나를 즐겁게 하였다. 내가 용을 보고 쥐들이 나의 지지대를 갉아 먹는 것을 보았을 때는 어떤 꿀의 달콤함도 내게는 달콤하지 않았다.

Nor was that all. Had I simply understood that life had no meaning I could have borne it quietly, knowing that that was my lot. But I could not satisfy myself with that. Had I been like a man living in a wood from which he knows there is no exit, I could have lived; but I was like one lost in a wood who, horrified at having lost his way, rushes about wishing to find the road. He knows that each step he takes confuses him more and more, but still he cannot help rushing about.

그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내가 단순히 인생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나는 그것을 조용히 견뎌냈을 것이다, 그것이 나의 운명이라는 것을 알고서. 그러나 나는 그것에 만족할 수 없었다. 내가 출구가 없는 줄로 아는 숲속에 사는 사람 같다면, 나는 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숲속에서 길을 잃어 버린 것을 두려워 하며 길을 찾고자 하는 바람으로 이리저리 뛰어 다니는 길 잃은 사람 같았다. 그는 자신이 딛는 걸음마다 점점 더 혼란에 빠지게 하는 것을 알지만, 그러나 여전히 그는 이리저리 달리지 않을 수 없다.

It was indeed terrible. And to rid myself of the terror I wished to kill myself. I experienced terror at what awaited me-knew that that terror was even worse than the position I was in, but still I could not patiently await the end. However convincing the argument might be that in any case some vessel in my heart would give way, or something would burst and all would be over, I could not patiently await that end. The horror of darkness was too great, and I wished to free myself from it as quickly as possible by noose or bullet. That was the feeling which drew me most strongly towards suicide.

그것은 정말 무서운 일이었다. 그리고 그 공포에서 벗어나고자 나 자신을 죽이고자 하였다. 나는 나를 기다리고 있는 것에 공포를 느꼈다-그 공포는 내가 있던 위치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아직도 나는 그 끝을 끈기 있게 기다리고 있을 수 없었다. 어찌하였든 나의 가슴의 혈관이 터져 나가든, 또는 무엇이 폭발하여 모든 것이 끝난다는 주장이 아무리 납득이 가더라도, 나는 그 끝을 끈기 있게 기다릴 수 없었다. 어두움에 대한 전율이 너무나 거대했다, 그리고 나는 올가미나 총알을 가지고 가능한 빨리 그것으로부터 나 자신을 벗어나게 하고 싶었다. 그것은 나를 가장 강력하게 자살을 향하여 몰고 간 그런 감정이었다.

   
   

V

   

"But perhaps I have overlooked something, or misunderstood something?" said to myself several times. "It cannot be that this condition of despair is natural to man!" And I sought for an explanation of these problems in all the branches of knowledge acquired by men. I sought painfully and long, not from idle curiosity or listlessly, but painfully and persistently day and night-sought as a perishing man seeks for safety-and I found nothing.

“그렇지만, 아마도 내가 어떤 것을 간과하였거나, 무엇을 오해하였다면?” 하면서 여러 번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절망의 상태가 인간에게 당연할 리가 없다.” 그리고 나는 사람들이 이룩해 놓은 모든 지식의 분야에서 이들 문제에 대한 설명을 찾았다. 나는 고통스럽게 그리고 오랫동안, 심심한 호기심이나 억지로가 아니라, 그러나 밤낮으로 고통스러이 그리고 끈질기게 찾았다-죽어가는 사람이 무사함을 바라듯이 찾았다-그리고 나는 아무것도 찾지 못했다.

I sought in all the sciences, but far from finding what I wanted, became convinced that all who like myself had sought in knowledge for the meaning of life had found nothing. And not only had they found nothing, but they had plainly acknowledged that the very thing which made me despair -- namely the senselessness of life -- is the one indubitable thing man can know.

나는 모든 과학에서 찾았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것을 찾기는 커녕, 나와 같은 모든 사람들이 인생의 의미에 대한 지식을 찾았으나 아무것도 찾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들은 아무것도 찾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나를 절망-말하자면, 인생의 무의미함-하게 만든 바로 그것은 사람들이 알 수 있는 확실한 것임을 명백하게 인정하였다.

I sought everywhere; and thanks to a life spent in learning, and thanks also to my relations with the scholarly world, I had access to scientists and scholars in all branches of knowledge, and they readily showed me all their knowledge, not only in books but also in conversation, so that I had at my disposal all that science has to say on this question of life.

나는 어디에서든지 찾았다, 그리고 학문에 쏟은 삶 덕분에 그리고 학자들의 세상과의 관련 덕택에, 나는 지식의 모든 분야에서 과학자들과 학자들 접촉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기꺼이 그들의 모든 지식을 내게 보여주었다, 책으로서 만이 아니고 또한 대화를 통해서, 그 결과, 나는 학문이 이 인생의 문제에 대하여 말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내 손아귀에 넣었다.

I was long unable to believe that it gives no other reply to life's questions than that which it actually does give. It long seemed to me, when I saw the important and serious air with which science announces its conclusions which have nothing in common with the real questions of human life, that there was something I had not understood. I long was timid before science, and it seemed to me that the lack of conformity between the answers and my questions arose not by the fault of science but from my ignorance, but the matter was for me not a game or an amusement but one of life and death, and I was involuntarily brought to the conviction that my questions were the only legitimate ones, forming the basis of all knowledge, and that I with my questions was not to blame, but science if it pretends to reply to those questions.

나는 그것이 실제로 주는 것 외에 인생의 문제에 대한 대답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오랫동안 믿을 수 없었다. 내가 사람의 인생의 실제 문제들과 전혀 공통점이 없는 결론들을 과학이 발표하는 중요하고도 진지한 분위기를 보았을 때, 나에게는 깨닫지 못한 무엇인가가 있는 것처럼 오랫동안 느껴졌다. 나는 오랫동안 과학 앞에서 겁이 많았다, 그리고 답변들과 나의 질문들 사이의 일치의 결여는 과학의 잘못이 아니라 나의 무지 때문에 발생하는 것처럼 내게는 느껴졌다, 그러나 문제는 내게 있어서 오락이나 재미가 아니라 삶과 죽음의 문제였다, 그리고 나는 무의식적으로 나의 문제는 유일하게 정당하며, 그리고 이 확신은 모든 지식의 기초를 이루었으며, 나는 나의 문제에 관한한 비난 받아서는 안되며, 그러한 문제에 답하는 척한다면 과학이 비난 받아야 한다는 확신에 이르게 되었다,

My question-that which at the age of fifty brought me to the verge of suicide-was the simplest of questions, lying in the soul of every man from the foolish child to the wisest elder: it was a question without an answer to which one cannot live, as I had found by experience. It was: "What will come of what I am doing today or shall do tomorrow? What will come of my whole life?"

나의 의문-오십의 나이에 나를 자살의 지경까지 이르게 한 것-은 어리석은 어린아이부터 가장 현명한 노인들 까지 모든 사람들의 영혼에 놓여 있는 가장 단순한 질문들: 내가 경험으로 발견하였듯이, 해답을 찾지 못하면 살수 없는 문제였다. 그것은: 내가 오늘 하고 있는 또는 내일 할 일로부터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 나의 전체 인생으로 인하여 무엇이 일어날까?

Differently expressed, the question is: "Why should I live, why wish for anything, or do anything?" It can also be expressed thus: "Is there any meaning in my life that the inevitable death awaiting me does not destroy?"

다르게 표현한다면, 문제는: “내가 왜 살아야 하며, 왜 무엇인가를 원해야 하고,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것은 또한 이렇게 표현될 것이다: “나를 기다리는 피할 수 없는 죽음도 파괴하지 못하는 내 인생에서의 어떤 의미가 있을까?

To this one question, variously expressed, I sought an answer in science. And I found that in relation to that question all human knowledge is divided as it were into two opposite hemispheres at the ends of which are two poles: the one a negative and the other a positive; but that neither at the one nor the other pole is there an answer to life's questions.

이 한가지 질문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표현하면서, 나는 과학에서 답을 찾아 보았다. 그리고 그 질문에 관련하여 모든 인간의 지식은 두개의 반구를 이루며 그 끝에는 두개의 극이 있는 것처럼 나누어 진다: 하나는 부정적이며 다른 하나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이쪽의 극에도 저쪽의 극에도 인생의 문제에 대한 해답은 없다.

The one series of sciences seems not to recognize the question, but replies clearly and exactly to its own independent questions: that is the series of experimental sciences, and at the extreme end of it stands mathematics. The other series of sciences recognizes the question, but does not answer it; that is the series of abstract sciences, and at the extreme end of it stands metaphysics.

한편의 일련의 과학들은 그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으나 그 자체의 동떨어진 문제들에 대하여는 분명하고 정확하게 대답한다: 그것은 일련의 실험 과학들이다, 그리고 그 극단에 수학이 서있다. 다른 한편의 일련의 과학들은 문제를 인식하나, 그것에 답하지 않는다; 그것은 일련의 추상적 과학들이다, 그리고 그 극단에는 형이상학이 서있다.

From early youth I had been interested in the abstract sciences, but later the mathematical and natural sciences attracted me, and until I put my question definitely to myself, until that question had itself grown up within me urgently demanding a decision, I contented myself with those counterfeit answers which science gives.

어린 청년기부터 나는 추상적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뒤에 수학과 자연과학이 나를 끌어 당겼다, 그리고 내가 나의 문제를 명확히 나 자신에게 제시할 때까지, 긴급하게 결정을 요구하면서, 나의 안에서 그 문제 자체가 자라날 때까지, 나는 과학이 주는 그들 허위의 답변에 만족했다.

Now in the experimental sphere I said to myself: "Everything develops and differentiates itself, moving towards complexity and perfection, and there are laws directing this movement. You are a part of the whole. Having learnt as far as possible the whole, and having learnt the law of evolution, you will understand also your place in the whole and will know yourself." Ashamed as I am to confess it, there was time when I seemed satisfied with that. It was just the time when I was myself becoming more complex and was developing. My muscles were growing and strengthening, my memory was being enriched, my capacity to think and understand was increasing, I was growing and developing; and feeling this growth in myself it was natural for me to think that such was the universal law in which I should find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of my life. But a time came when the growth within me ceased. I felt that I was not developing, but fading, my muscles were weakening, my teeth falling out, and I saw that the law not only did not explain anything to me, but that there never had been or could be such a law, and that I had taken for a law what I had found in myself at a certain period of my life. I regarded the definition of that law more strictly, and it became clear to me that there could be no law of endless development; it became clear that to say, "in infinite space and time everything develops, becomes more perfect and more complex, is differentiated", is to say nothing at all. These are all words with no meaning, for in the infinite there is neither complex nor simple, neither forward nor backward, nor better or worse.

이제 실험적 분야에 대하여 나는 생각해 보았다: “복합성과 완성을 향하여 움직이면서 모든 것은 발전한다 그리고 스스로 구별된다, 그리고 이 움직임을 이끄는 법칙이 있다. 당신은 전체의 일부이다. 가능한 한 전체를 배우고, 진화의 법칙을 배운다면, 당신은 또한 전체에서의 당신의 위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알게 될 것이다.” 나는 그것을 고백하기도 부끄럽지만, 나는 그것에 만족하던 것처럼 보이던 때가 있었다. 그것은 나 자신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발전하던 바로 그때였다. 나의 근육이 자라서 힘이 세어지고 있었으며, 나의 기억은 풍부하여지고, 나의 사고하며 이해하는 용량은 증가하고 있었다, 나는 자라고 발전하고 있었다; 그리고 나 자신에서 이런 성장을 느끼면서 그러한 것이 바로 내가 나의 인생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하는 일반적 법칙이라고 내가 생각하는 것은 당연했다. 그러나 나 안에서의 성장이 멈춘 때가 왔다. 나는 발전하지 않고 있었으며 사그러들고 있었다, 나의 근육들은 약해지고 있었다, 나의 이빨들도 빠지고 있었다, 그리고 나는 그 법칙은 나에게 아무것도 설명해 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법칙이 있었거나 있을 수도 없었다, 그리고 나의 인생의 일정 시기에 있어서의 나 자신에게서 발견한 것을 법칙이라고 간주했다는 것을 느꼈다. 나는 그 법칙의 정의를 좀더 엄격하게 바라보았다, 그리고 끊임없는 발전의 법칙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내게 분명해졌다; “무한한 공간과 시간에서 모든 것이 발전한다, 더욱 완전해지고 더욱 복잡해진다, 차별화 된다”라고 말하는 것은 아무것도 말함이 아니다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것들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모든 말들이다, 왜냐하면 무한에서는 복잡함도 단순함도, 전진도 후진도, 개선도 개악도 없기 때문이다.

Above all, my personal question, "What am I with my desires?" remained quite unanswered. And I understood that those sciences are very interesting and attractive, but that they are exact and clear in inverse proportion to their applicability to the question of life: the less their applicability to the question of life, the more exact and clear they are, while the more they try to reply to the question of life, the more obscure and unattractive they become. If one turns to the division of sciences which attempt to reply to the questions of life-to physiology, psychology, biology, sociology-one encounters an appalling poverty of thought, the greatest obscurity, a quite unjustifiable pretension to solve irrelevant question, and a continual contradiction of each authority by others and even by himself. If one turns to the branches of science which are not concerned with the solution of the questions of life, but which reply to their own special scientific questions, one is enraptured by the power of man's mind, but one knows in advance that they give no reply to life's questions. Those sciences simply ignore life's questions. They say: "To the question of what you are and why you live we have no reply, and are not occupied with that; but if you want to know the laws of light, of chemical combinations, the laws of development of organisms, if you want to know the laws of bodies and their form, and the relation of numbers and quantities, if you want to know the laws of your mind, to all that we have clear, exact and unquestionable replies."

무엇보다 먼저, 나의 개인적인 질문, “나의 욕망은 어떻게 되는가?” 는 전혀 답변을 하지 않은 채로 있었다. 그리고 나는 그들 과학은 매우 흥미롭고 매력적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인생의 문제에 대한 적용에서 정확하고 명백한 반비례인 것을 깨달았다: 인생의 문제에 그들의 적용성이 줄어들면 들수록 그것들은 더욱 정확하고 명백하다, 반면에, 그것들이 인생의 문제에 답변하려고 하면 할 수록, 그것들은 점점 더 불투명하고 매력이 없게 되어 버린다. 인생의 문제에 대답하려고 시도하는 과학의 분야를 찾는다면-생리학, 심리학, 생물학, 사회학-그는 놀라운 사상의 빈곤, 최고의 불투명함, 상관 없는 문제를 풀려고 하는 너무나 정당화될 수 없는 주장, 그리고 개개의 권위에 대한 타인들 또는 심지어 스스로에 의한 끊임없는 모순을 만나게 된다. 인생의 문제와 관련이 없는 과학의 분야로서, 그러나 그들 자신의 구체적인 과학적 문제들에 답변하는 분야를 찾는다면, 그는 사람의 마음의 힘에 매료된다, 그러나 그것들이 인생의 문제에 아무런 답변을 주지 않음을 미리 알게 된다. 그런 과학들은 단순히 인생의 문제들을 무시해 버린다. 그들은 말한다: “당신이 무엇인지, 왜 사는가의 문제에 대하여 우리는 아무런 대답이 없으며 그것을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당신이 빛, 화학적 결합의 법칙, 유기체의 성장법칙을 알고 싶어 한다면, 몸과 그의 구조의 법칙, 그리고 수와 양의 관계를 알고 싶어 한다면, 당신 마음의 법칙을 알고 싶어 한다면 그 모든 것들에 대해서 우리는 명백하고 정확하며 의심의 여지가 없는 대답들을 가지고 있다.”

In general the relation of the experimental sciences to life's question may be expressed thus: Question: "Why do I live?" Answer: "In infinite space, in infinite time, infinitely small particles change their forms in infinite complexity, and when you have under stood the laws of those mutations of form you will understand why you live on the earth."

일반적으로 실험적 과학의 인생의 문제에 대한 관계는 이렇게 표현될 것이다: 질문: “나는 왜 사는가” 답변: 무한한 우주에서, 무한한 시간에서, 무한하게 작은 분자들이 그들의 모양을 무한한 복합성에서 변화시킨다, 그리고 당신이 그러한 변화의 법칙들을 깨달았을 때 당신이 땅 위에 왜 사는지 깨달을 것이다.

Then in the sphere of abstract science I said to myself: "All humanity lives and develops on the basis of spiritual principles and ideals which guide it. Those ideals are expressed in religions, in sciences, in arts, in forms of government. Those ideals become more and more elevated, and humanity advances to its highest welfare. I am part of humanity, and therefore my vocation is to forward the recogniti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ideals of humanity." And at the time of my weak-mindedness I was satisfied with that; but as soon as the question of life presented itself clearly to me, those theories immediately crumbled away. Not to speak of the unscrupulous obscurity with which those sciences announce conclusions formed on the study of a small part of mankind as general conclusions; not to speak of the mutual contradictions of different adherents of this view as to what are the ideals of humanity; the strangeness, not to say stupidity, of the theory consists in the fact that in order to reply to the question facing each man: "What am I?" or "Why do I live?" or "What must I do?" one has first to decide the question: "What is the life of the whole?" (which is to him unknown and of which he is acquainted with one tiny part in one minute period of time.) To understand what he is, one man must first understand all this mysterious humanity, consisting of people such as himself who do not understand one another.

한편, 추상적 과학의 범주에서 나는 생각해 본다: “모든 인류는 그것이 지향하는 정신적인 원리와 이상을 토대로 살아가며 발전한다. 그들 이상들은 종교, 과학, 예술, 정부의 형태로 표현된다. 그들 이상들은 점점 더 높아지고, 인류는 그의 최상의 행복으로 나아간다. 나는 인류의 부분이다, 그리고 그러므로 나의 소명은 인류의 이상들에 대한 인식과 현실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연약한 마음의 시절에는 나는 그것에 만족하였다; 그러나 생의 문제 자체가 내게 명백하게 제시되자마자, 그들 이론들은 즉시 가루가 되어 버렸다. 그들 과학들이 인류의 작은 부분을 연구하여 구성한 결론들을 일반적인 결론으로 선언하는 뻔뻔스러운 애매함은 말할 것도 없이; 인류의 이상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들 시각의 상이한 추종자들의 상호 모순은 말할 것도 없이; 어리석음은 말할 것도 없이, 그 이론의 생소함은 각기 사람들에게 당면한 문제들에 답변하려는 사실에 있다: “나는 무엇인가?” 또는 “나는 왜 사는가?” 또는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먼저 이 질문부터 결정해야 할 것이다: “전체의 인생은 무엇인가?” (그것은 그에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것에 대하여 그는 하나의 작은 시기의 시간 안에서 하나의 작은 부분만 면식이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 깨닫기 위해서 그는 반드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신과 같은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 이 모든 신비에 싸인 인류를 깨달아야 한다.

I have to confess that there was a time when I believed this. It was the time when I had my own favourite ideals justifying my own caprices, and I was trying to devise a theory which would allow one to consider my caprices as the law of humanity. But as soon as the question of life arose in my soul in full clearness that reply at once flew to dust. And I understood that as in the experimental sciences there are real sciences, and semi-sciences which try to give answers to questions beyond their competence, so in this sphere there is a whole series of most diffused sciences which try to reply to irrelevant questions. Semi-sciences of that kind, the juridical and the social-historical, endeavour to solve the questions of a man's life by pretending to decide each in its own way, the question of the life of all humanity.

나는 내가 이것을 믿던 시절이 있었음을 고백해야 한다. 그 때 나는 자신의 변덕들을 정당화 시켜주는 나의 가장 선호하는 이상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나는 사람으로 하여금 나의 변덕들을 인류의 법칙으로 여기도록 이끄는 이론을 고안하려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생의 문제가 나의 영혼에 완전한 명백함으로 제기되자 그러한 답변은 당장 먼지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나는 실험 과학에서, 진정한 과학들, 그리고 그들의 능력을 초월하여 문제들에 대답하려 시도하는 유사 과학들이 있는 것처럼, 이 범주에는 상관성이 없는 문제들에 답변하려 시도하는 가장 널리 퍼진 총체적이 일련의 과학들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법률 및 사회-역사 등의 그러한 종류의 유사 과학들은 사람의 인생의 문제를 인류의 인생의 문제를 각자가 각기의 방법대로 해결하겠다고 감히 주장함으로써, 사람의 인생의 문제를 풀려고 노력한다.

But as in the sphere of man's experimental knowledge one who sincerely inquires how he is to live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reply -- "Study in endless space the mutations, infinite in time and in complexity, of innumerable atoms, and then you will understand your life" -- so also a sincere man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reply: "Study the whole life of humanity of which we cannot know either the beginning or the end, of which we do not even know a small part, and then you will understand your own life." And like the experimental semi-sciences, so these other semi-sciences are the more filled with obscurities, inexactitudes, stupidities, and contradictions, the further they diverge from the real problems. The problem of experimental science is the sequence of cause and effect in material phenomena. It is only necessary for experimental science to introduce the question of a final cause for it to become nonsensical. The problem of abstract science is the recognition of the primordial essence of life. It is only necessary to introduce the investigation of consequential phenomena (such as social and historical phenomena) and it also becomes nonsensical.

그러나 사람의 실험적인 지식의 범주에서처럼 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진지하게 묻는 사람은 그 대답에 만족할 수 없다-‘끝없는 공간에서 무수한 원자들의 변화들을 연구하라, 무한한 시간 속에서 그리고 복잡 함에서, 그러면 당신은 당신의 인생을 깨달을 것이다’- 그러함 같이, 또한 진지한 사람은 그 대답에 만족할 수 없다: “우리가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인류의 전체 인생을 연구하라, 그것에 대하여는 우리도 심지어 조그만 부분도 모른다, 그러면 당신의 인생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실험적인 유사 과학들처럼, 이들의 다른 유사 과학들은 더 많은 애매함 들, 부정확함 들, 우둔함 들, 그리고 모순들로 가득 차 있으며, 실제 문제들보다 더욱 멀리 벌어져 나간다. 실험 과학의 문제는 물질적 현상들에 있어서 원인과 결과의 연속이다. 실험 과학은 그에 대한 마지막 원인에 대한 문제 제기만이 필요할 뿐이며 무의미해 진다. 추상적 과학의 문제는 인생의 원초적인 본질을 인식함이다. 그것은 오직 결과론적인 현상들(예를 들면 사회적 및 역사적 현상들)에 대한 조사를 제기하는 것에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 또한 무의미해진다.

Experimental science only then gives positive knowledge and displays the greatness of the human mind when it does not introduce into its investigations the question of an ultimate cause. And, on the contrary, abstract science is only then science and displays the greatness of the human mind when it puts quite aside questions relating to the consequential causes of phenomena and regards man solely in relation to an ultimate cause. Such in this realm of science -- forming the pole of the sphere -- is metaphysics or philosophy. That science states the question clearly: "What am I, and what is the universe? And why do I exist, and why does the universe exist?" And since it has existed it has always replied in the same way. Whether the philosopher calls the essence of life existing within me, and in all that exists, by the name of "idea", or "substance", or "spirit", or "will", he says one and the same thing: that this essence exists and that I am of that same essence; but why it is he does not know, and does not say, if he is an exact thinker. I ask: "Why should this essence exist? What results from the fact that it is and will be?" ... And philosophy not merely does not reply, but is itself only asking that question. And if it is real philosophy all its labour lies merely in trying to put that question clearly. And if it keeps firmly to its task it cannot reply to the question otherwise than thus: "What am I, and what is the universe?" "All and nothing"; and to the question "Why?" by "I do not know".

실험 과학은 오직 긍정적인 지식을 주며 긍극적인 원인에 대한 문제 조사에 들어가지 못할 때는 인간의 마음이 위대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반대로, 추상적 과학은 오직 그때에 과학이다. 그리고 현상들에 대한 결과적인 원인들에 관련한 문제들을 제껴 놓으며 사람을 오직 궁극적인 원인에 관련하여 고려할 때에 인간의 마음의 위대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역에 있는 것-구의 극을 형성하는 것-이 형이상학이나 철학이다. 그러한 과학은 그 문제를 명백히 말해 준다: “나는 무엇인가, 그리고 우주는 무엇인가? 그리고 나는 왜 존재하는가, 그리고 우주는 왜 존재하는가? 그리고 그것은 존재한 이후로 언제나 똑같은 식으로 답변이 되었다. 철학자가 인생의 본질이 나 안에 그리고 “이념”, 또는 “물질”, 또는 “영혼”, 또는 “의지”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에 존재한다고 일컫는다 하더라도, 그는 똑같은 한가지를 말함이다: 이 본질은 존재하며, 나는 똑같은 본질이다; 그러나 왜 그러한지 그는 모른다, 그리고 말하지 않는다, 그가 만일 꼼꼼한 사상가라면. 나는 묻는다: “왜 이 본질이 존재하여야 하는가? 그것이 있으며 있을 것이라는 사실로 하여 초래되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철학은 답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차제도 그런 질문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만약 진정한 철학이라면 그 모든 노력은 그 문제를 명확하게 해석함에 있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임무에 충실하다면 이것 외에는 문제에 대하여 대답할 수 없다: “나는 무엇인가. 그리고 우주는 무엇인가?” 는 “유(有) 그리고 무(無)”; 그리고 “왜” 에 관한 질문에는 “모른다”

So that however I may turn these replies of philosophy, I can never obtain anything like an answer-and not because, as in the clear experimental sphere, the reply does not relate to my question, but because here, though all the mental work is directed just to my question, there is no answer, but instead of an answer one gets the same question, only in a complex form.

그러한 결과로, 내가 아무리 이들 철학들의 대답을 들어 보아도, 나는 대답 같은 것을 결코 얻을 수 없다-분명한 실험적 범주에서처럼, 그 대답은 나의 질문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여기, 비록 모든 정신적 작업이 오직 나의 질문에 맞추어 졌지만, 답이 없다는 것이며, 그러나 답변 대신에 더욱 복잡한 모양으로서 똑같은 의문만 갖게 되기 때문이다

'나의 하나님에 관하여 > 나의 고백(톨스토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0) 2006.12.11
3  (0) 2006.12.11
6  (0) 2006.12.11
7  (0) 2006.12.11
8~9  (0) 2006.12.11